GLP-1 비만치료제, 글로벌 산업을 뒤흔들다
위고비를 비롯한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계열 약물이 이제 단순한 다이어트 주사를 넘어 세계 각국 산업의 판도를 바꾸고 있습니다. 전 세계 소비 패턴과 경제 구조까지 변화시키는 새로운 촉매로 주목받고 있으며, 그 영향력은 제약업계를 넘어 예상치 못한 분야까지 파급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제약사들의 깜짝 실적
최근 미국의 일라이 릴리가 개발한 ‘마운자로’(성분명 터제파타이드)는 2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38% 증가하며 155억 6천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조정 주당순이익도 61% 늘어난 6.31달러로, 시장의 기대를 훌쩍 뛰어넘었습니다.
덴마크의 노보 노디스크 역시 비만치료제 ‘위고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올해 상반기 매출은 전년 대비 18% 늘어난 242억 달러, 영업이익은 29% 증가한 112억 달러를 달성했는데요. 특히 최근에는 간 질환인 MASH 치료제로 위고비의 적응증을 확대해 FDA 승인을 받으며 처방 가능한 환자군을 더욱 넓혔습니다.
폭발적인 성장 배경 – 비만 인구와 의료 패러다임의 변화
GLP-1 시장은 제약 산업 역사상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 중 하나입니다. 1975년 이후 전 세계 비만 인구가 세 배 이상 늘어난 것이 가장 큰 성장 요인입니다. 또한 비만을 개인의 생활습관 문제에서 만성질환으로 바라보는 의료계의 인식 변화가 이 시장 확대에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올해 글로벌 GLP-1 시장 규모는 약 628억 달러로 추산되며, 2034년에는 약 2,684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연평균 성장률은 무려 17.5%에 달합니다.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
GLP-1 약물의 확산은 제약업계를 넘어 식품·음료, 패션, 항공, 뷰티 산업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GLP-1 복용자들은 탄산음료와 과자 같은 고칼로리 음식 소비를 줄이고, 대신 운동·여행·취미 등 건강 중심의 소비를 늘리는 경향을 보입니다. 일부 기업들은 빠르게 적응해 ‘GLP-1 친화’ 라벨을 붙이거나 전용 메뉴를 내놓으며 새로운 시장 수요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한 체중 감량으로 인해 항공사의 연료비 절감 가능성이 커지고, 의류 업계에서는 작은 사이즈 의류 판매량이 늘어나는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여행·레저 수요 역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증가하고 있고, 체중 감소 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한 피부 리프팅·스킨부스터 시술 수요도 늘어나며 뷰티 업계의 새로운 성장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경제 성장 효과까지
비만치료제 확산은 각국 경제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골드만삭스는 GLP-1 약물 보급만으로도 미국 GDP가 0.4%~1%가량 성장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비만 관련 의료비 절감과 노동시장 참여율 증가가 그 배경입니다. 한국 역시 식품·음료 산업 성장 둔화, 웰니스·패션·바이오 산업 성장 등 GLP-1 효과를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특히 차세대 비만 치료제를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한다면, 바이오 산업이 반도체에 이어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축이 될 가능성도 큽니다.